btn_close

커뮤니티

여성장애인의 오늘! 함께 만드는 힘찬 미래!
커뮤니티

장애계 동향&이슈

[경향신문]‘주 14시간’에 묶인 중증장애인 일자리···복지부는 위탁 후 ‘나몰라라’
작성일 : 2025-10-15 조회수 : 6

14시간에 묶인 중증장애인 일자리, 복지부는 위탁 후 나몰라라

 

발달장애인 원유철씨(54)는 보건복지부의 재정지원 장애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지난해 서울시가 권리중심 중증장애인 맞춤형 공공일자리를 폐지한 뒤 새 일자리를 찾아 복지부 사업에 지원했다. 중앙부처가 지원하는 일자리라 더 좋은 대우를 기대했지만 기대와 달랐다. 근무 시간이 14시간으로 제한돼 급여와 연차가 줄었고, 원씨의 업무 등을 돕는 근로지원인도 없다. “일을 해 번 돈으로 갖고 싶은 것을 사고 쉬는 시간에 담배를 피던원씨의 평범한 일상이 흔들렸다.

 

복지부가 주관하는 중증장애인 일자리 사업이 장애인의 노동권을 침해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업을 민간에 위탁한 복지부가 관리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복지부는 장애인복지법(21)에 따라 취업이 어려운 장애인의 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하고 소득을 보장하기 위해 일자리 사업을 운영한다. 사업 유형은 일반형 일자리·참여형 일자리(복지 일자리) 등으로 나뉜다. 이 중 참여형 일자리는 고령장애인·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주당 근무시간은 14시간으로 제한돼 운영된다.

 

그런데 ‘14시간 제한제도가 노동시간 뿐만 아니라 장애인의 복지 혜택도 제한한다. 15시간 미만 노동자는 법적으로 초단시간 근로자로 분류돼 퇴직금·주휴수당·연차수당 등을 보장받지 못하기 때문이다. 한국장애인고용공단의 근로지원인 지원 사업또한 주 15시간(60시간) 미만 노동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한다. 원씨는 일하다 자료를 찾아야 하는데 선생님(근로지원인)이 없어 혼자 찾기 어려울 때가 많다고 했다.

 

근로지원인의 공백을 메울 전담인력이 있다고 하지만 턱없이 부족하다. 복지부가 별도의 인력비를 지원하지 않아 지자체나 민간 기관이 자체 예산으로 인력을 충당해야 하기 때문이다. 서울시의 한 복지센터에서 전담인력으로 일하는 임지수씨(30)현재 장애인 18명을 전담인력 2명이 맡고 있다근로지원인이 없어 전담인력의 일이 과중한 데다 인건비를 센터가 부담해야 해 인력을 늘리기 어렵다고 말했다.

 

복지부가 사업을 민간에 위탁하면서 일자리 관리가 부실해졌다는 지적도 있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복지부에서 받은 장애인 복지일자리 위탁 현황 조사자료를 보면 전국 지자체는 일부 민간업체에 사업을 위탁하고, 이 업체가 다시 여러 기관에 장애인을 파견하는 구조로 운영된다. 참여형 일자리 사업 안내서에 명시된 배정인원의 30% 이상을 외부에 배치해야 한다는 조항 때문이다. 장애인도 다양한 직무를 경험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인데 일부 기관이 이 조항을 근거로 장애인들을 수십개 업체에 1~2명씩 파견하다보니 관리 사각지대가 생긴다. 서울 송파구청이 지난해 사업을 위탁한 A단체는 92명 장애인을 채용해 총 30개의 기관으로 파견했고 1개 단체가 50여개의 업체로 파견한 사례도 있었다.

 

 

전문가들은 복지부의 문어발식운영이 장애인의 사회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는 사업 취지를 퇴색시킨다고 지적한다. 민푸름 서울장애인차별철폐연대 정책국장은 장애인들은 민간 시장으로 취업 연계라는 말로 포장된 채 관리자도 없는 곳에서 홀로 방치된다장애인을 복지와 시혜의 대상으로 볼 것이 아니라 노동자로서 사회적 안전망에 진입할 기회를 줘야 한다고 말했다. 임씨 역시 근무 시간이 줄고 동료도 사라지면서 장애인 당사자들이 자신을 노동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전했다.

 

서미화 의원은 정부가 초단기 노동자 보호를 국정과제로 추진하는 상황에서 가장 먼저 보호받아야 할 중증장애인 근로자가 무분별한 공공일자리 외주화와 반복적인 파견 구조 속에 방치되고 있다복지부는 중증장애인 근로자가 국정기조의 사각지대에 놓이지 않도록 근본적인 제도 개편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보건복지부 관계자는 14시간 근무 체계는 일을 오래 할 수 없는 고령장애인·중증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해 설계된 유형이라며 장애인들이 다양한 직무를 경험할 수 있도록 일터를 발굴해내다 보니 여러 곳으로 파견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댓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215 [헤드라인제주] 장애인 화장실, 제주 관광의 또 다른 얼굴 bbs_n 관리자 4 2025-10-15
now_gul [경향신문]‘주 14시간’에 묶인 중증장애인 일자리···복지부는 위탁 후 ‘나몰라라’ bbs_n 관리자 6 2025-10-15
213 [에이블뉴스]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 ‘고용률은 올렸지만, 일자리 질은 제자리’ 관리자 7 2025-10-13
212 [일다] 휠체어 시위를 휠체어로 막는 발상에 대하여 관리자 38 2025-10-01
211 [연합뉴스] "휠체어 타면 못 따라와…" 장애인 돈 훔친 10대들 소년부 송치 관리자 21 2025-09-29
210 【에이블뉴스】대구·경북서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시작 관리자 32 2025-09-19
209 [농민신문] ‘장애인 고용’ 앞장서도 모자란데…공공기관 3곳중 1곳 ‘의무고용’ 미준수 관리자 30 2025-09-19
208 [한겨레] ‘장애인 자립주택’ 신청 거절당한 장애인...지자체 조례 사각지대 관리자 43 2025-09-15
207 [에이블뉴스] 장애여성 의원급 산부인과 경험률 8.3% 불과, “접근 어려워” 관리자 64 2025-09-09
206 [연합뉴스] 중증 뇌병변 장애인에 소변 먹인 간병인 징역 6개월 관리자 60 2025-08-26
205 [전자신문] 은행권, 장애인·취약계층 금융서비스 '기술'로 해결한다 관리자 91 2025-08-19
204 【에이블뉴스】 이재명 정부 123대 국정과제 윤곽, 장애계 “기대 반 우려 반” 관리자 95 2025-08-18
203 [에이블뉴스] 왜 우리는 작고 가벼운 전동휠체어를 만나기 어려운가 (김양희) 관리자 81 2025-08-13
202 [에이블뉴스] 중증장애인 ‘입’ 됐다는 이유로 부정수급, “나는 억울합니다 관리자 62 2025-08-13
201 [한겨례] 장애인엔 더 높은 ‘키오스크의 벽’ 관리자 73 2025-08-0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