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n_close

커뮤니티

여성장애인의 오늘! 함께 만드는 힘찬 미래!
커뮤니티

장애계 동향&이슈

[헤드라인제주] 장애인 화장실, 제주 관광의 또 다른 얼굴
작성일 : 2025-10-15 조회수 : 5

[헤드라인제주] 장애인 화장실, 제주 관광의 또 다른 얼굴

 

 

제주는 매년 천만 명 이상의 관광객이 찾는 국내 대표 관광지이다. 청정한 자연과 문화유산이 어우러져 빚어내는 풍경은 세계 어디에 내놓아도 손색이 없지만, 여행의 완성은 결국 편리하고 안전한 환경에서 비롯된다. 그중에서도 공중화장실은 관광객이 가장 빈번히 이용하는 필수 생활 공간이다. 편리한 화장실 없이는 여행의 만족도도 떨어지고, 관광지로서의 신뢰도도 흔들릴 수밖에 없다. 그러나 최근 공중화장실 중 장애인 화장실 현황 조사 결과는 제주가 아직 해결해야 할 숙제가 많음을 보여주고 있다.

 

2024년 조사된 제주장애인인권포럼 공중화장실 접근성 모니터링 결과에 따르면, 제주도 내 공중화장실 690곳 중 장애인 화장실이 설치된 곳은 절반에도 못 미치는 343곳이었다. 더욱 심각한 점은 이 가운데 실제 사용 가능한 곳이 262곳으로 전체의 38% 수준에 불과하다는 사실이다. 81(12%)은 단차와 경사 문제로 접근 자체가 어렵고, 그중 16곳은 아예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화장실이 실재하지 않았다.

 

 

내부 공간 문제도 여전히 크다. 접근이 가능한 화장실이라 하더라도 유효공간이 협소해 휠체어 사용자가 변기로 이동하지 못하는 사례가 발생할 확률이 45%에 달한다. 이는 단순한 설치율이라는 외형적 수치만으로는 실질적인 이용 가능성을 보장할 수 없음을 보여준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편의도 거의 마련되지 않았다. 점자 유도 블록 설치율은 18.3%, 입구 알림 점형블록은 47.8%, 점자 표지판은 42.2%가 미설치 상태였다. 이는 단순한 불편을 넘어 문은 있지만 들어갈 수 없는 구조적 방치이자 장애인의 기본 권리를 외면한 결과라 할 수 있다.

 

공간적 제약에 더해, 운영시간 제한과 같은 관리상의 문제 또한 풀리지 않은 과제로 남아 있다. 일례로 제주의 공영주차장 부속 공중화장실이 안내된 개방시간 이후에는 문이 닫히거나 입구가 폐쇄되는 경우를 확인할 수 있다. 예컨대, 서귀포 천지 공영주차장 화장실은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지' 개방된다고 안내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토·일요일 등 직원이 상주하지 않는 시간대에 잠겨 있어 접근할 수 없었고, 홍로 공영주차장도 비슷한 상황이다. 또 제주시 상두거리 공영주차장 화장실은 오후 6시 이후 및 공휴일에 무료 개방이 예정돼 있음에도 불구하고 입구가 벽돌로 막혀 있거나 잠겨 있는 경우가 보고되었다. 이러한 접근불가의 반복은, 안내문상의 '개방시간'에만 의존한 설치율 중심 정책이 장애인·이동 약자들에게 실질적 이용 가능성을 보장하지 못함을 보여준다.

 

이렇게 현실과 정책 목표 사이의 괴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행정이 여전히 설치율 중심의 성과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사용자의 입장에서 접근하고, 감수성을 바탕으로 공간을 계획하는 세심한 시각이다. 그렇지 않으면 장애인 화장실은 형식적인 설치에 그칠 뿐, 실제 사용에 있어서는 불편과 배제를 초래할 수 밖에 없다.

 

제주의 관광 정책 관점에서도 화장실 문제는 더욱 중요하다. 특히 앞으로 열릴 2026년 전국장애인체육대회와 2025 APEC 정상회의 등 국내외 다양한 사람들이 제주를 찾을 예정인 만큼, 모두가 불편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공중화장실 환경 개선은 더욱 시급하고 중요한 과제가 되고 있다. 단순한 설치율 중심이 아니라 정기 점검, 관리 체계, 데이터 기반의 정책 개선, 정보 공개와 안내 서비스까지 아우르는 종합적 접근이 요구된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제주는 신규 설치보다 기존 시설의 개선과 철저한 관리에 우선순위를 두어야 한다. 특히 단차 해소, 경사로 정비, 충분한 유효공간 확보 등 구체적 개선 과제를 통해 실질적 접근성을 보장해야 한다. 제주 관광객 수가 증가해도 장애인 화장실의 접근성과 편의성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제주 관광의 경쟁력은 크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

 

화장실 하나를 개선하는 일이 작은 문제처럼 보일 수 있으나, 이는 곧 사회적 책임과 포용성을 실천하는 척도이다. 장애인과 이동 약자가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화장실이 확보될 때, 관광객 모두에게 쾌적하고 신뢰할 수 있는 여행 환경이 제공되는 것이다. 이제는 화장실에서부터 제주가 진정한 포용 관광지로 나아가야 한다. 행정, 지역사회, 관광업계가 함께 책임을 나누고 실천해 나갈 때, 제주는 비로소 누구에게나 열린 섬, 진정한 세계적 관광지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now_gul [헤드라인제주] 장애인 화장실, 제주 관광의 또 다른 얼굴 bbs_n 관리자 5 2025-10-15
214 [경향신문]‘주 14시간’에 묶인 중증장애인 일자리···복지부는 위탁 후 ‘나몰라라’ bbs_n 관리자 6 2025-10-15
213 [에이블뉴스]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 ‘고용률은 올렸지만, 일자리 질은 제자리’ 관리자 7 2025-10-13
212 [일다] 휠체어 시위를 휠체어로 막는 발상에 대하여 관리자 38 2025-10-01
211 [연합뉴스] "휠체어 타면 못 따라와…" 장애인 돈 훔친 10대들 소년부 송치 관리자 21 2025-09-29
210 【에이블뉴스】대구·경북서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시작 관리자 32 2025-09-19
209 [농민신문] ‘장애인 고용’ 앞장서도 모자란데…공공기관 3곳중 1곳 ‘의무고용’ 미준수 관리자 30 2025-09-19
208 [한겨레] ‘장애인 자립주택’ 신청 거절당한 장애인...지자체 조례 사각지대 관리자 43 2025-09-15
207 [에이블뉴스] 장애여성 의원급 산부인과 경험률 8.3% 불과, “접근 어려워” 관리자 64 2025-09-09
206 [연합뉴스] 중증 뇌병변 장애인에 소변 먹인 간병인 징역 6개월 관리자 60 2025-08-26
205 [전자신문] 은행권, 장애인·취약계층 금융서비스 '기술'로 해결한다 관리자 91 2025-08-19
204 【에이블뉴스】 이재명 정부 123대 국정과제 윤곽, 장애계 “기대 반 우려 반” 관리자 95 2025-08-18
203 [에이블뉴스] 왜 우리는 작고 가벼운 전동휠체어를 만나기 어려운가 (김양희) 관리자 81 2025-08-13
202 [에이블뉴스] 중증장애인 ‘입’ 됐다는 이유로 부정수급, “나는 억울합니다 관리자 62 2025-08-13
201 [한겨례] 장애인엔 더 높은 ‘키오스크의 벽’ 관리자 73 2025-08-08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