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n_close

커뮤니티

여성장애인의 오늘! 함께 만드는 힘찬 미래!
커뮤니티

장애계 동향&이슈

[뉴시스] "장애인 복지 수준 평균 48점"…지역별 최대 36점차
작성일 : 2025-11-18 조회수 : 4

 "장애인 복지 수준 평균 48"지역별 최대 36점차

 


 

 

내년 제9회 전국동시지방선거를 앞둔 가운데 장애인 단체에서 장애인 관련 복지·교육 정책·예산 등을 비교한 결과 지역별로 큰 격차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172025년도 전국 시도별 장애인 복지·교육 비교 결과를 공개했다. 이 조사는 각 시도별 격차를 확인하고 상향 평준화의 길로 안내하기 위해 2005년부터 매년 시행하고 있다. 민선 8기 지자체 임기 4년 차인 올해는 복지 분야와 교육 분야 영역을 조사했다.

 

복지 분야는 보건 및 자립 지원 영역, 복지 서비스 지원 영역, 복지 행정 및 예산 영역 33개 영역으로 나뉘었으며 장애인 1인당 장애인의료비 지원액, 활동지원서비스 지원 수준, 장애인복지관 충족 수준, 장애인복지 담당 공무원 확보 수준 등의 지표가 활용된다.

 

조사 결과 평균 점수는 48.50점으로 전년 대비 6.76점 상승했다. 18개 지자체 중 부산, 대구, 광주, 세종, 경기, 전북, 전남, 경북은 전년 대비 점수가 하락했고 나머지는 상승했다.

 

점수가 가장 높은 곳은 서울로 70.49점이다. 서울의 경우 전년 대비 점수 상승폭이 48.5%로 가장 컸다. 반면 강원은 점수가 34.78점으로 가장 낮았다.

 

점수를 토대로 우수 지역은 서울과 대전이었고 경기, 강원, 전남, 경북은 분발이 필요한 지역으로 꼽혔다. 강원과 경북은 2년 연속 분발 등급이었다.

 

교육은 특수교육대상자 1인당 특수교육 예산액, 특수교육예산 지원 비율, 특수학급 설치율, 특수교사 법정 정원 충원율, 장애인 교원 고용률 등을 지표로 사용했다.

 

조사 결과 교육 분야 평균 점수는 75.91점으로 전년 65.54점 대비 15.82점 상승했다. 18개 지자체 모두 전년 대비 상승했다.

 

점수가 가장 높은 곳은 대전으로 83.74점이었고 가장 낮은 곳은 경기 70.49점이다. 경기도는 전년 대비 점수 상승폭이 25.25%로 가장 컸다.

 

점수를 토대로 우수 지역은 서울과 대전, 울산, 세종이었고 대전과 세종은 2년 연속 우수 등급으로 평가됐다. 대구, 인천, 광주, 경기, 충북, 경북은 분발이 요구되는 지역이다.

 

서울과 대전은 복지, 교육 분야에서 모두 우수한 지역이었고 경기, 경북은 모두 분발이 요구되는 지역이었다.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은 "점수가 평균 이하이거나 분발 등급에 속한 지역은 장애인 복지·교육 수준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댓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221 [뉴시스] 장애등록 안되는 '경계선지능인'…"일반·특수교육 사이 핑퐁 시달려“ bbs_n 관리자 3 2025-11-18
220 [에이블뉴스] 휠체어 장애인의 여행, 꿈과 현실 사이의 간극 (김양희) bbs_n 관리자 5 2025-11-18
now_gul [뉴시스] "장애인 복지 수준 평균 48점"…지역별 최대 36점차 bbs_n 관리자 4 2025-11-18
218 [주간동화] 장애인은 있어도 불편함은 없는 캐나다 관리자 8 2025-11-13
217 [KBS 뉴스] 장애인 키오스크 소상공인은 예외…“헌법소원 제기할 것” 관리자 8 2025-11-13
216 [회원 소식] 문은설 에세이 '그러니 너도 살아' 출간 관리자 32 2025-11-11
215 [헤드라인제주] 장애인 화장실, 제주 관광의 또 다른 얼굴 관리자 49 2025-10-15
214 [경향신문]‘주 14시간’에 묶인 중증장애인 일자리···복지부는 위탁 후 ‘나몰라라’ 관리자 62 2025-10-15
213 [에이블뉴스] 중증장애인 2배수 인정제 ‘고용률은 올렸지만, 일자리 질은 제자리’ 관리자 48 2025-10-13
212 [일다] 휠체어 시위를 휠체어로 막는 발상에 대하여 관리자 79 2025-10-01
211 [연합뉴스] "휠체어 타면 못 따라와…" 장애인 돈 훔친 10대들 소년부 송치 관리자 56 2025-09-29
210 【에이블뉴스】대구·경북서 '최중증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시범사업' 시작 관리자 64 2025-09-19
209 [농민신문] ‘장애인 고용’ 앞장서도 모자란데…공공기관 3곳중 1곳 ‘의무고용’ 미준수 관리자 64 2025-09-19
208 [한겨레] ‘장애인 자립주택’ 신청 거절당한 장애인...지자체 조례 사각지대 관리자 78 2025-09-15
207 [에이블뉴스] 장애여성 의원급 산부인과 경험률 8.3% 불과, “접근 어려워” 관리자 102 2025-09-09
1 2 3 4 5 6 7 8 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