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n_close

커뮤니티

여성장애인의 오늘! 함께 만드는 힘찬 미래!
커뮤니티

장애계 동향&이슈

[경향신문] 중증장애인 응급상황도 구멍…사업 통폐합에 일자리 잃은 노동자들
작성일 : 2024-02-02 조회수 : 413


중증장애인 응급상황도 구멍…사업 통폐합에 일자리 잃은 노동자들




중증장애인 응급안전관리요원 이동엽씨(65)는 지난해 12월 일자리가 없어진다는 소식을 접했다. 지난 2017년부터 일해온 응급안전관리서비스 기관이 올해부터 통폐합됐다는 이유였다. 이씨는 중증장애인 가구를 방문해 이들의 생활 정보를 모니터링하는 기기가 제대로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일을 해왔다. 이씨는 1일 통화에서통폐합 보름 전 통보를 받았다. 당장 다른 일자리를 구하기도 어려워 지금은 실업급여 받으면서 버티는 중이라면서정부가 약자를 신경 쓰겠다고 해놓고 중증장애인을 지원하는 일자리를 줄이는 게 맞느냐고 말했다.

 

중증장애인 응급안전안심서비스는 중증장애인의 생활 반응을 모니터링하고 응급상황이 발생 시 즉시 구호 기관과 연계해주는 서비스다. 주기적으로 직원들이 가정에 방문해 모니터링 장비 사용에 어려움은 없는지 등을 확인한다. 그간 보건복지부가 전국 지방자치단체에 예산을 지급하고, 지자체가 수행 기관을 공모하는 식으로 사업이 이뤄졌다.

 

지난해까지 서울시 내 서비스 제공기관은 구별로 1곳씩 선정돼 총 25곳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6곳으로 통폐합됐다. 보건복지부 지원 예산도 2023 134000만원에서 2024 53700만원으로 60%가량 삭감됐다. 이 중 특히 인건비가 31명분( 9억원)에서 7명분( 2억원)으로 크게 줄었다. 센터에서 일하던 직원 대다수가 일자리를 잃었고, 남은 직원 1명당 담당해야 하는 중증장애인의 수는 기존 70~80명에서 약 300명으로 늘었다.

 

복지부는 다른 지자체와의 형평성 때문에 어쩔 수 없었다는 입장이다. 복지부 관계자는직원 1명당 400명 이상을 담당하는 지자체도 있다. 당초 서울시에 배정됐던 수요에 못 미쳐 예산을 삭감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사업 대상이 달라 이러한 비교가 부적절하다는 반론도 있다. 서울시 관계자는다른 지자체는 노인·중증장애인을 대상으로 하지만 우리는 중증장애인만을 대상으로 해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인력난이 응급상황에서의 발 빠른 대처를 어렵게 하고, 이는 곧 중증장애인들의 안전 문제로 이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지난 6년간 응급안전안심서비스 직원으로 일한 김모씨(37)기존에는 하루에 7~8 곳 가정에 방문해 각 30~40분씩 머물렀다. 한두 달에 한 번꼴로 가정을 방문했다면 앞으로는 1년에 한두 번 방문하게 될 것이라며모니터링 기기가 잔고장이 자주 나는데 점검이 이뤄지지 않으면 응급상황을 제때 포착하지 못할 수 있다고 했다.

 

중증장애인 생활 전반에도 불편이 커질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이씨는중증장애인 어머니를 폭행하던 아들을 직원이 발견해 직접 장애인권위원회에 신고하거나, 저장강박증이 있는 이들을 위해 직접 구청에 도움을 청하기도 했다면서활동지원사가 메우지 못하는 시간 공백을 응급안전요원들이 메우는 역할도 해왔다고 했다. 김씨는코로나19 때 심장마비 전조 증상으로 병원에 입원한 중증장애인을 돌봤던 것, 약 부작용으로 식사를 못하고 계셨던 분의 병원 이송을 도운 것 등이 기억에 남는다면서구청·기업 후원을 연계하거나 의료비 지원서비스 알아봐 주는 것도 주된 일 중 하나였는데 이런 것들이 어려워질 것 같다고 했다.

 

사업을 이어온 복지기관도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왕창호 새날동대문장애인자립생활센터 실장은응급요원들이 장애인들의 외부 활동을 지원하는 역할도 해왔다. 안전예방 외에도 여러 효과가 있던 사업이었는데 그런 점이 고려되지 않았다이라고 했다. 그러면서지난 10년간 탈시설 기조를 이어온 중증장애인 복지 정책이 과거로 역행하고 있다고 했다.

 

복지부 관계자는갑작스러운 해고가 이뤄지지 않도록 서울시와 사전 조율을 했다면서전국적으로 인력이 부족한 상황이라 올해 70명을 더 충원할 예정이다. 향후 서울 등 각 지자체 상황을 고려해 직원 1인당 배정 인원을 줄여나가겠다고 했다.




댓글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조회수 작성일
118 [뉴시스] 서울 장애인기관 77%, 활동지원사 법정임금 안 줬다 관리자 310 2024-06-14
117 [연합뉴스] 최중증 발달장애인 1:1 통합돌봄서비스 11일부터 시작 관리자 321 2024-06-11
116 [연합뉴스] 장애인 등록 거부된 'IQ 65' 40대…행정소송 이례적 승소 관리자 344 2024-06-07
115 [매일경제] "돈 때문에 의수 못사는 장애인 없길 바라죠" 관리자 526 2024-06-03
114 [경향신문] 장애인은 못 가는 ‘무장애숲길’ 관리자 345 2024-05-29
113 [세계일보] 장애인 근로자의 비정규직 비율, 전체 비정규직 비율의 1.8배 관리자 319 2024-05-27
112 [MBN뉴스] 장애인 성폭행한 활동지원사 소속기관도 처벌…이유는? 관리자 298 2024-05-27
111 [뉴시스] 작년 장애인 고용률 3.17%…자치단체 5.9%로 가장 높아 관리자 298 2024-05-24
110 [대한민국정책브리핑] 최중증 발달장애인 등 가족 돌봄 시 활동지원금 지급 관리자 419 2024-05-22
109 [한국경제신문] "장애인이 1년 이상 임차한 車도 유료도로 통행료 50% 감면해야" 관리자 491 2024-05-22
108 [에이블뉴스] 장애인 금융 세금 가이드-13 ‘자동차보험 서민나눔특약’ 관리자 352 2024-05-17
107 [연합뉴스] 목소리·수어로 읽어주는 뉴스…서울시, 장애인전자신문 발행 관리자 314 2024-05-17
106 [MBN뉴스] "누가 노크할라…" 공중화장실이 두려운 '청각장애인' 관리자 374 2024-05-16
105 [에이블뉴스] 발달장애인을 위한 AAC 활용 관리자 649 2024-05-16
104 [경남도민일보] “장애인 개인예산제 통합은 흐름” 선결 과제는 관리자 342 2024-05-13
1 2 3 4 5 6 7 8 9 10